본문 바로가기
나의 은퇴 준비

지원형 주거시설(Assisted Living Facility) 은 공공(주정부 운영) 시설도 있고, 사립(민간 운영) 시설도 존재, 메디케어나 메디케이드의 사용 가능 여부

by 가을 가동 2025. 4. 29.
반응형

1. 메디케어(Medicare)

1.1. 메디케어는 기본적으로 지원형 주거시설의 거주 비용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 메디케어는 병원 치료, 의사 진료, 단기 재활 등을 커버하는 건강보험입니다.
  • 시설비, 식사, 세탁, 생활 보조 서비스 등의 일상적 생활비는 메디케어에서 보장하지 않습니다.

1.2. 다만, 메디케어는 해당 시설에서 일시적으로 제공되는 의료 서비스(예: 방문 간호, 물리치료 등)에 대해서는 일부 지원이 가능합니다.
→ 예: 시설 내 방문 간호사가 와서 상처 치료를 해주는 경우 등

2. 메디케이드(Medicaid)

2.1. 주에 따라 일부 사립 지원형 주거시설도 메디케이드로 비용 지원이 가능합니다.

  • 그러나 이것은 모든 주에서 허용되는 것이 아니며, 주별로 "Medicaid Waiver Program" 또는 "Home and Community-Based Services (HCBS)" 프로그램이 있어야 합니다.

2.2. 사립시설이더라도, 다음과 같은 경우 메디케이드 커버가 가능합니다.

  • 해당 사립시설이 주정부와 계약을 맺은 공식 제공기관(approved provider) 인 경우
  • 해당 주에서 지원형 주거시설을 메디케이드 HCBS 프로그램 대상 시설로 인정한 경우
  • 입주자가 소득 및 자산 기준을 충족하는 저소득층인 경우

3. 주의할 점

3.1. 시설마다 메디케이드 수용 여부가 다릅니다.
→ 어떤 사립시설은 메디케이드 환자를 받지 않거나, 일부 방만 메디케이드용으로 운영합니다.

3.2. 입소 대기 시간이 길 수 있습니다.
→ 메디케이드용 방은 제한되어 있어, 사립이든 공공이든 대기자가 많을 수 있습니다.

3.3. 입주자가 메디케이드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사전 신청과 승인 절차가 필요합니다.
→ 직접 신청하거나, 가족 또는 사회복지사 도움을 받아 신청할 수 있습니다.

4. 예

  • A 주(예: 캘리포니아)는 ALW(Assisted Living Waiver) 라는 메디케이드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 이 프로그램을 통해 사립 지원형 주거시설에서도 메디케이드 수급자가 입주할 수 있도록 비용을 보조합니다.
  • 단, 해당 시설이 ALW 참여 기관이어야 하며, 수급자 본인도 소득 및 자산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5. 정리

항목  메디케어  메디케이드
기본 거주 비용 지원 ❌ 불가 ⭕ 주에 따라 가능
단기 의료 서비스 ⭕ 가능 ⭕ 가능
사립시설 사용 ❌ 거주비 불가 ⭕ 조건부 가능
신청 절차 필요 없음 주 별 승인 절차 필요
적용 대상 65세 이상 노인 저소득층, 장애인 등

 

말하자면, 사립 지원형 주거시설도 메디케이드를 통해 입주 가능하긴 하지만, 그 전제 조건은 주마다 다르고요, 시설이 메디케이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어야 가능하대요. 메디케어는 시설 자체의 비용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은 개인 부담 또는 메디케이드 지원이 필요하다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