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책 이야기

소년이 온다

by 가을 가동 2025. 1. 20.
반응형

 줄거리

1부: 동호의 시점 15세 소년 동호는 광주 민주화 운동의 한가운데에 있습니다.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그는 폭력으로 희생된 이들의 시신을 정리하는 힘겨운 일을 자발적으로 돕습니다. 동호의 눈을 통해 우리는 두려움과 책임감이 교차하는 모습을 봅니다. 그는 친구 정대의 시신을 확인하며 처음으로 죽음의 현실과 마주합니다. 그의 머릿속에는 끊임없는 질문이 맴돕니다. “왜 우리가 이런 일을 겪어야 하지? 내가 정대를 지킬 수는 없었을까?” 시간이 흐를수록 동호의 내면 갈등은 더욱 커지며, 그가 느끼는 슬픔과 책임감은 도시의 긴장감과 함께 고조됩니다.

 

2부: 남겨진 사람들 시점은 동호의 어머니로 바뀝니다. 그녀는 아들의 실종을 받아들이지 못한 채 매일 희망과 절망 사이를 오갑니다. 그녀는 동호의 웃음소리와 마지막으로 집을 나섰던 모습을 되새기며 스스로를 책망합니다. “그날 내가 동호를 막았다면,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았을까?” 또 다른 시점에서는 동호와 함께했던 간호사가 등장합니다. 그녀는 동호를 더 잘 지키지 못했다는 죄책감에 시달립니다. 어린 소년이 보여준 용기와 침착함을 떠올리며 “내가 조금만 더 노력했다면”이라는 자책이 그녀의 내면을 잠식합니다. 그녀는 악몽과 싸우며 자신의 선택이 옳았는지 끊임없이 고민합니다.

 

3부: 억압 속에서 살아남기 광주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은 침묵을 강요받습니다. 정부의 선전은 그들을 범죄자로 몰아가며, 진실을 말하려는 모든 시도는 위협받습니다. 한 시민군 생존자는 매일 밤 악몽에 시달리며, 낮에는 “이렇게 살아가는 것이 과연 옳은가?”라는 질문과 싸웁니다. 특히 정부가 사건을 왜곡하고 희생자들의 명예를 훼손할 때마다 그의 분노는 억눌립니다. 그러나 그는 가족을 지켜야 한다는 두려움과 진실을 말하고 싶다는 갈등 속에서 고통받습니다. 이 장에서는 침묵 속에서도 자신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려는 생존자들의 심리가 깊이 묘사됩니다.

 

4부: 희생자들의 목소리 이야기는 희생자들, 특히 동호와 정대의 영혼의 시점으로 전환됩니다. 그들은 여전히 광주 거리를 떠돌며 자신들의 이야기가 잊히지 않기를 바랍니다. 동호는 조용히 묻습니다. “사람들은 아직도 나를 기억할까? 내 삶은 어떤 의미가 있었을까?” 이 영혼들은 과거를 되새기며 그들이 겪었던 폭력과 부조리를 전달하려 합니다. 그러나 그들의 목소리는 단순한 슬픔이 아니라, 연결과 위안, 그리고 기억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우리를 기억해 주는 사람이 단 한 명이라도 있다면 괜찮아”라는 말은 그들의 마지막 희망을 보여줍니다.

 

5부: 미래를 향한 발걸음 시간이 흘러 동호의 친구들이 어른이 된 모습이 그려집니다. 그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동호를 기억하며 살아갑니다. 한 친구는 광주의 진실을 기록하고 알리는 작가가 되어 자신이 살아남은 이유를 찾으려 합니다. 그는 자신의 글을 통해 “동호가 원했던 것은 이런 삶이 아니었을까?”라며 스스로를 다독입니다. 또 다른 친구는 고통스러운 기억에서 벗어나고자 새로운 도시로 떠나지만, 여전히 광주의 기억은 그의 삶에 깊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는 결국 그날의 용기로부터 영감을 받아 새로운 방식으로 세상을 변화시키려 노력합니다. 이 장은 과거의 상처와 현재의 희망을 연결하며, 독자에게 미래를 향한 조용한 낙관을 전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