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은퇴 준비

고정 연금(Fixed Annuity)의 연금 지급률(Payout Rate)과 필요한 자금의 관계, 연금 지급률이 올라가면 필요한 금액이 왜 줄어드는지, 변동 연금(Variable Annuity) 및 지수 연금(Indexed Annuity)의 경우 더 많은 금액이 필요한 이유

by 가을 가동 2025. 3. 7.
반응형

1. 고정 연금(Fixed Annuity)의 연금 지급률(Payout Rate)과 필요한 자금의 관계

1.1. 연금 지급률(Payout Rate)이란?

  • 연금 지급률(Payout Rate)은 투자한 자금 대비 매년 지급받는 연금의 비율을 말한다.
  • 예를 들어, 연금 지급률이 5%라면, 투자한 금액의 5%를 매년 연금으로 받는다.

1.2. 연금 지급률과 필요한 자금의 관계란

  • 연금 지급률이 높을수록 같은 연금을 받기 위해 필요한 초기 투자금이 줄어든다.
  • 반대로, 연금 지급률이 낮으면, 동일한 연금을 받기 위해 더 많은 초기 투자금이 필요하다.

1.3. 연금 지급률에 따른 필요한 자금 비교 (연간 연금 지급액 $50,000 기준)

연금 지급률 (Payout Rate)  필요한 초기 투자금 (Principal Needed)
3% $1,666,667 (약 22억 원)
4% $1,250,000 (약 16.5억 원)
5% $1,000,000 (약 13.2억 원)
6% $833,333 (약 11억 원)

 

1.4. 연금 지급률이 올라가면 필요한 금액이 줄어드는 이유는

  • 예로, 연금 지급률이 5%일 경우 $1,000,000을 투자하면 매년 $50,000을 지급받는다.
  • 만약 연금 지급률이 6%로 올라가면 같은 연금을 받기 위해 필요한 금액이 $833,333으로 줄어든다.
  • 즉, 같은 연금을 지급하기 위해 필요한 투자금이 더 적어진다.

2. 변동 연금(Variable Annuity) 및 지수 연금(Indexed Annuity)에서는 왜 더 많은 금액이 필요한가?

2.1. 변동 연금(Variable Annuity)

  • 변동 연금은 주식, 뮤추얼 펀드, 채권,  등에 투자되며, 시장 실적에 따라 연금 지급액이 변동되는 방식이다.
  • 투자 성과에 따라 연금 지급액이 증가할 수도 있지만, 시장이 하락하면 연금 지급액이 줄어들거나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다.
  • 이 때문에 안정적인 연금 지급을 보장하려면 더 많은 초기 투자금이 필요하다.

2.2. 지수 연금(Indexed Annuity)

  • 지수 연금은 S&P 500과 같은 특정 주가지수(Stock Index)에 연동되고, 시장 상승 시 일부 수익을 얻고, 하락 시 원금을 보호하는 방식이다.
  • 그러나 수익이 제한되는 구조이므로, 안정적인 연금을 받으려면 더 많은 초기 투자금이 필요하다.

2.3. 변동 연금 및 지수 연금에서 필요한 자금을 비교해 보면

연금 유형  필요한 초기 투자금
(Principal Needed)
예상 연금 지급률 (Payout Rate)
고정 연금
(Fixed Annuity)
$1,000,000 (약 13.2억 원) 5%
변동 연금
(Variable Annuiy)
$1,200,000 (약 15.8억 원) 4.2% (예상)
지수 연금
(Indexed Annuiy)
$1,400,000 (약 18.5억 원) 3.5% (예상)

 

2.4. 변동 연금과 지수 연금에서 더 많은 금액이 필요한 이유

  • 변동 연금(Variable Annuity): 시장 실적에 따라 수익이 변동되므로, 예상보다 낮은 수익이 발생할 가능성을 대비하여 더 많은 자금을 확보해야 한다.
  • 지수 연금(Indexed Annuity): 원금 보호 기능이 있지만, 상승 시 일부 수익만 가져갈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연금을 받으려면 더 많은 초기 투자금이 필요하다.

3. 연금 지급은 은퇴 후 30년 기준인가?

3.1. 보통 대부분의 연금 설계는 은퇴 후 30년을 기준으로 한다.

  • 은퇴 후 평균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연금 지급 기간은 보통 25~30년으로 설정된다.
  • 즉, 65세에 은퇴하면 95세까지 연금을 지급하는 구조이다.

3.2. 30년 기준으로 설정되는 이유

  • 미국도 평균 기대수명이 증가하고 있으며, 65세 은퇴자의 평균 기대수명은 약 85~95세이다.
  • 이를 감안하여 대부분의 연금 상품은 30년 지급을 기준으로 한다.

3.3. 평생 연금(Lifetime Annuity) 옵션

  • 종신 연금(Lifetime Annuity)은 기대수명과 관계없이 평생 지급되는 옵션이다.
  • 하만, 기대수명보다 더 오래 살 경우 보험사가 손실을 감수해야 하므로, 종신 연금의 연금 지급률은 일반적인 30년 연금보다 낮을 수 있다.

4. 결론

4.1. 고정 연금(Fixed Annuity)의 연금 지급률이 높아지면, 같은 연금을 받기 위해 필요한 초기 투자금이 줄어든다.

4.2. 변동 연금(Variable Annuity)과 지수 연금(Indexed Annuity)은 시장 변동성과 원금 보호 기능 때문에, 안정적인 연금을 지급하려면 더 많은 초기 투자금이 필요하다.

4.3. 대부분의 연금 설계는 은퇴 후 30년을 기준으로 하며, 65세에 은퇴하면 95세까지 지급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4.4. 만약 기대수명이 더 길 경우, 종신 연금(Lifetime Annuity) 옵션을 선택하여 평생 연금을 받을 수도 있지만, 지급률은 다소 낮아질 수 있다.

 

 

어누이티 가입 할 때 연금을 지급 받는 형식이나 지급률이나 이런걸 잘 따져보고 해야겠어요. 

그런데 연금 지급은 보통 25-30년을로 설정 한다고 했는데 만약 은퇴후 어누이티를 받기 시작하고 30년 이전에 죽으면 그 돈은 사라지는 걸까요? ? 또 은퇴후 어누이티를  받는 기간을 정할수도 있는지 궁금해지네요. ㅎㅎㅎㅎㅎㅎ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