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케어 Part A와 Part B 중 어떤 것이 의무일까?
- 메디케어 Part A(병원 보험)는 의무가 아니다.
- 65세 이상이 되어 메디케어 자격이 생겨도, Part A에 가입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다.
-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Part A를 무료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의료보험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가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만약 Part A를 무료로 받을 수 없는 경우(예: 사회보장세를 10년 이상 내지 않은 경우), 가입하지 않아도 된다.
- 메디케어 Part B(의료 보험)도 의무가 아니다.
- Part B는 병원 외래 진료, 검사, 예방 치료 등을 보장하는 보험으로, 가입하면 월 보험료를 내야 한다.
-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은퇴 후 별도의 건강보험이 없으면 가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만약 Part B에 가입하지 않았다가 나중에 가입하면 ‘지연 가입 벌금(Late Enrollment Penalty)’이 부과될 수 있다.
메디케어 가입 시 선택 사항
메디케어 파트 가입 | 의무 여부 | 설명 |
Part A (병원 보험) | ❌ 의무 아님 | 대부분 무료이므로 가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원하지 않으면 가입하지 않아도 됨. |
Part B (의료 보험) | ❌ 의무 아님 | 가입하지 않으면 추후 가입 시 추가 비용(벌금)이 부과될 수 있음. |
Part C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 ❌ 의무 아님 | 민간 보험으로 Part A와 B를 대체하는 옵션. 선택 사항. |
Part D (처방약 보험) | ❌ 의무 아님 | 별도의 처방약 보험이 없으면 가입하는 것이 좋음. |
메디케어 Part A, B 둘 다 가입이 의무는 아니고, Part A는 대부분의 사람이 무료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가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네요. 무료라는데 왜 안하겠어요. 혜택이 있는데요. ㅎㅎㅎㅎㅎ
Part B는 보험료를 내야 하므로 선택할 수 있지만, 가입하지 않으면 나중에 가입 시 추가 비용(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네요. 아직도 잘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어요. .
따라서 직장 건강보험이 없는 경우, Part A와 Part B를 모두 가입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선택이래요..
'나의 은퇴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디케이드(Medicaid)란? (0) | 2025.03.22 |
---|---|
메디케어 가입 의무 및 벌금 (지연 가입 패널티) (0) | 2025.03.21 |
은퇴 후 메디케어 없이 민간 의료보험 가입 가능 여부 (0) | 2025.03.19 |
메디케어(Part A, B, C, D)를 모두 가입해야 은퇴 전 의료보험과 유사한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 (0) | 2025.03.18 |
은퇴 준비의 아주 중요한 것 중의 하나 메디케어(Medicare)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