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은퇴 준비

미국 소셜 시큐리티 연금(Social Security Benefits) 을 은퇴 후 한국에서 수령할 수 있는지

by 가을 가동 2025. 3. 29.

 

1. 미국 소셜 시큐리티 연금이란 무엇인가

1.1 
소셜 시큐리티 연금(Social Security Benefits) 은 미국 정부가 62세 이상 일정 조건을 만족한 시민 또는 영주권자에게 지급하는 퇴직 연금입니다.
이는 일정 기간 이상 일한 기록(work credits) 에 기반하여 계산되며, 일반적으로 10년 이상 일한 기록(40 credits) 이 있으면 수급 자격이 생깁니다.

1.2 
기본적인 수급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 시민 또는 영주권자(Lawful Permanent Resident)
  • 최소 62세 이상
  • 최소 40 credits (약 10년 이상 근무)
  • 세금 보고 기록이 있는 경우

2. 은퇴 후 해외에 거주할 경우 연금은 어떻게 될까

2.1 해외 거주 수령 가능 여부
많은 미국인들이 은퇴 후 비용이 낮고 삶의 질이 높은 해외 국가로 이주를 고려합니다.
그렇다면 한국과 같은 해외 국가에 거주해도 미국 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요?
정답은 Yes, 받을 수 있습니다.

2.2 조건
미국 시민의 경우 대부분의 나라에서 소셜 시큐리티 연금을 계속 수령할 수 있습니다.
미국 사회보장청(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SSA) 에 따르면,
한국은 연금 송금이 가능한 국가(eligible country) 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2.3 실제 수령 방식
해외 거주자가 미국 연금을 수령하는 방식은 다음 중 하나입니다.

  • 미국 내 은행 계좌로 입금 후 한국 계좌로 직접 송금
  • 또는 SSA와 협약된 한국 내 은행 계좌로 직접 수령 (현재는 제한적)
  • 일반적으로 미국 계좌 유지가 가장 안전하고 보편적인 방식입니다.

3. 한국에서의 세금 및 신고 문제

3.1 한-미 간의 조세 협약
한국과 미국은 조세조약(Tax Treaty) 을 체결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이중과세(double taxation)를 피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미국 시민 또는 영주권자가 한국에 거주하며 소셜 시큐리티 연금을 수령하는 경우:

  • 기본적으로 미국에서만 세금을 내며
  • 한국에서는 해당 연금에 대해 세금을 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개인의 전체 소득 규모와 세금 신고 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세무 전문가(Tax Advisor) 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3.2 미국 세금 신고(Filing Requirement)
한국에 거주하더라도 미국 시민 또는 영주권자는 매년 미국 세금 신고(IRS Form 1040) 를 해야 합니다.
소셜 시큐리티 연금의 일정 부분은 과세 대상(taxable) 이 될 수 있으나,
단독 수입이 연금뿐인 경우 과세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4. 실질적인 준비 사항

4.1 SSA에 해외 거주 신고
한국으로 이주 후, 미국 사회보장청에 반드시 해외 주소 변경을 신고해야 합니다.
이는 연금 송금 오류나 연락 실패를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4.2 은행 계좌 유지
미국 내 은행 계좌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연금 수령에 가장 안정적인 방법입니다.
다수의 연금 수령자들은 미국 계좌에 연금을 입금받고, 필요한 금액만 한국 계좌로 송금(remittance) 합니다.

4.3 한국 체류 자격
미국 시민으로서 장기 체류하려면 한국에서는 F-4 비자(재외동포비자) 또는 기타 장기체류비자가 필요합니다.
한국 국민으로 복수국적을 보유한 경우, 보다 수월하게 체류할 수 있습니다.

 

5. 만약에

5.1 내가 영주권자라면 한국에서 연금을 받을 수 있나?
영주권자도 받을 수 있으나, 한국에 1년 이상 거주하게 되면 영주권 포기 절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연금 수령은 가능합니다. SSA는 국가별 규정에 따라 Totalization Agreement 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5.2 한국 계좌로 직접 받을 수 있나?
2025년 현재, 일부 은행에서는 가능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미국 계좌로 수령한 후, 한국으로 이체하는 방식을 선택합니다.
은행 수수료나 환율 조건 등을 고려해 계획적인 송금 전략이 필요합니다.

5.3 연금 수령 시 한국 건강보험은 어떻게 되나?
소득이 발생하는 경우, 한국 건강보험공단에서 이를 감안하여 보험료가 책정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국민건강보험공단(NHIS) 에 문의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미국 시민(또는 조건을 갖춘 영주권자)이 한국으로 은퇴 이주를 하더라도
소셜 시큐리티 연금은 계속 수령할 수 있고요, 은퇴 전에 SSA와 사전 상담을 하는 것이 좋을것 같네여.

미국 은행 계좌는 반드시 유지하고, 세무 및 체류 자격 상담은 전문가와 상의해서 하면 더 좋을것 같고요. 그리고 해외 거주 보고, 주소 변경 등의 절차는 꼼꼼하게 처리해야 할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