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은퇴 준비

결혼을 하지 않았고, 충분한 근무 기록(40 크레딧)이 없다면 사회보장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

by 가을 가동 2025. 2. 4.

 

1. 결혼을 하지 않았고, 근무 기록이 부족한 경우

사회보장연금(퇴직연금, Retirement Benefits)은 받을 수 없음

  • 사회보장연금을 받으려면 최소 40 크레딧(약 10년간 근무)이 필요합니다.
  • 본인 명의로 연금을 받을 자격이 없는 경우, 배우자 연금(Spousal Benefits)이나 이혼한 배우자의 연금을 받을 수도 있는데, 결혼을 하지 않았다면 이 옵션도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받을 수 있는 다른 연금 혜택이 있음!

연금을 받지 못한다고 해서 모든 혜택을 받을 수 없는 것은 아니에요. 아래와 같은 대안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사회보장연금 외에 받을 수 있는 혜택

🔹 생활보조금(SSI, Supplemental Security Income)

  • 근무 기록이 없어도 받을 수 있는 보조금
  • 소득이 낮고 재산이 적다면 신청 가능
  • 65세 이상 또는 장애가 있거나 시각 장애가 있는 경우 지급

자격 요건

  • 소득과 자산이 일정 기준보다 낮아야 함 (2024년 기준, 개인은 약 $2,000 이하의 자산)
  • 시민권자 또는 특정 이민자 신분이어야 함

💡 신청 방법: www.ssa.gov/ssi

🔹 장애 연금(SSDI, Social Security Disability Insurance)

  • 장애로 인해 일을 할 수 없는 경우 받을 수 있는 혜택
  • 근무 기록이 부족하면 받을 수 없지만, 부모나 배우자가 SSDI를 받는 경우 일부 혜택 가능

💡 장애가 있는 경우, 근무 기록이 없더라도 생활보조금(SSI) 신청을 고려하는 것이 좋음

🔹 개인 퇴직연금(IRA, Roth IRA, 401(k) 등)

  • 근무 기록과 관계없이, **개인적으로 저축한 퇴직연금(IRA, Roth IRA)**이 있다면 노후자금을 마련할 수 있음
  • 401(k)는 직장 근무를 해야 하지만, IRA는 개인이 자유롭게 가입 가능

3. 결론: 꼭 사회보장연금이 아니어도 다른 방법이 있음!

결혼하지 않고 근무 기록이 부족하면 사회보장연금(퇴직연금)은 받을 수 없음

하지만 SSI(생활보조금)나 개인 연금, 장애 연금 등의 대안이 있음

조기 은퇴를 준비하려면 개인 IRA나 저축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

💡 해결책:

근무 기록이 부족하다면 생활보조금(SSI) 자격을 확인

개인적으로 IRA나 401(k)를 준비해 노후를 대비

가능하면 계속 근무해서 40 크레딧을 채우는 것도 방법

 

여기서도 또 궁금한게 생기네요.

자격요건에서 소득과 자산의 기준이 있다고 나오는데 좀더 자세하게 알아봐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