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자신을위한 은퇴 준비를 슬슬 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뭐를 어떻게 해야 할지 차근차근 하나씩 배워야 합니다.
내가 어느정도 알고 있어야 전문가를 만나도 물어 볼수 있는거니까요.
오늘은 내가 은퇴를 위해서 무엇을 알아야 할지 전체적인 내용을 먼저 보고 그 안에서 하나씩 세부사항을 알아 보려고 합니다.
펜실베니아 주 거주 기준으로 알아 봅니다.
1. 재정 계획 (가장 중요!)
가. 소셜 시큐리티 (Social Security)
-수령 시기:
-62세부터 받을 수 있지만, 풀 리타이어먼트 에이지(FRA, 만 67세)까지 기다리면 월급여가 30% 가량 증가합니다.
- 배우자 소셜 시큐리티: 남편이 67세에 은퇴한다면, 본인도 배우자 혜택(최대 50%)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본인의 소셜 시큐리티 수령액과 비교해 더 높은 금액을 선택해야 합니다.
- 전략: 건강 상태와 기대 수명을 고려해 수령 시기를 유연하게 결정하세요. (예: 70세까지 미루면 월급여가 최대 24% 증가)
나. 퇴직금 계좌 (401k, IRA)
- 인출 시기:
- 59.5세 이후부터 페널티 없이 인출 가능합니다.
- 72세부터 RMD(필수 최소 인출액)가 시작되니, 세금 계획을 미리 세우세요.
- 401(k)나 IRA를 관리할 금융 전문가(Financial Advisor)와 상담해 필요한 자금을 최적으로 인출하세요.
- 로스 IRA(Roth IRA)는 비과세 인출이 가능하므로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옵션입니다.
- 투자 전략:
- 은퇴 3~5년 전부터 안정적인 자산(채권, 현금) 비중을 높여 시장 변동성에 대비합니다.
- 인출 순서: 일반 계좌 → 세금 유예 계좌(401k) → 로스 IRA 순서로 인출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 세금 관리
- 세금 효율성:
- 퇴직금 계좌 인출 시 소득세가 부과되므로, 연간 인출액을 조절해 세율 구간을 최적화하세요.
- 펜실베니아는 퇴직금 소득에 대한 주세가 없지만, 연방세는 필수입니다.
- 소셜연금도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다른 소득(연금, 투자 소득 등)이 많으면 세금 부담이 커질 수 있으므로 미리 전략을 짜세요.
- 401(k)에서 인출할 때 세금이 부과되므로 세금 최소화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 세금 공제:
- 의료비, 자선 기부금 등을 항목별 공제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의료보험 (메디케어)
- 가입 시기:
- 65세 생일 3개월 전부터 3개월 후까지 초기 가입 기간이므로 반드시 신청하세요. 놓치면 평생 벌금이 부과됩니다.
- 플랜 선택:
- Part A (병원 보험): 대부분 무료지만, Part B(의료 보험)는 월 $170 이상의 보험료가 있습니다.
- Part D (처방약) 또는 메디갭(Medigap) 추가 보험을 가입하면 본인 부담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직장 의료보험을 갖고 있다면, 은퇴 후 COBRA(퇴직 후 18개월 동안 연장 보험)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주의사항:
- 은퇴 후 고용주 보험이 있다면 메디케어와 중복 가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생활비 & 주거 계획
가. 고정 지출 관리
- 예산:
- 현재 월 지출의 70~80%를 은퇴 후 필요 금액으로 가정하고 계산합니다.
- 주택 유지비, 유틸리티, 차량 유지비 등 고정비를 최소화하세요.
- 예상 은퇴 소득(소셜연금, 401(k) 인출, 투자 수익 등)과 비교해 부족한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 비상 자금:
- 예상치 못한 의료비나 집 수리를 위해 6~12개월 생활비를 현금으로 준비합니다.
나. 주택 관련
- 다운사이징:
- 큰 집을 팔고 소형 주택이나 연금형 주택(55+ 커뮤니티)으로 이사하면 생활비와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리버스 모기지:
- 주택 담보로 월급여를 받는 제도지만, 수수료와 이자가 높으니 신중히 검토하세요.
4. 은퇴 후 소득원 추가
- 파트타임 일자리:
- 소셜 시큐리티 수령 전에 연간 $22,320 이상 벌면 급여가 감소합니다. (2023년 기준)
- 수동적 소득:
- 배당주, 부동산 임대, 애뉴이티(연금 보험) 등으로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만드세요.
5. 법적 준비 사항
- 유언장 & 의료 위임장:
- 유산 분배와 치료 결정을 명시하는 Living Will, Healthcare Proxy를 준비합니다.
- 신탁 계좌(Trust):
- 자녀에게 재산을 상속할 때 유산세 절약을 위해 신탁을 설립할 수 있습니다.
6. 장기 요양
- 장기 요양보험(Long-term care insurance)을 고려해보세요. 나이가 들면 요양시설이나 간병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7. 실천 체크리스트
- 남편과 함께 소셜 시큐리티 수령 시기 협의하기
- 401k/IRA 잔액 & 인출 계획 세우기
- 메디케어 가입 기간 확인 및 플랜 비교
- 은퇴 후 월 예산 작성 (+비상 자금 모으기)
- 유언장 초안 작성 및 변호사 상담 예약
도움 받을 수 있는 곳:
- 은퇴 전문 재정 설계사(CFP®)와 1:1 상담을 받아 맞춤형 계획을 수립.
- 펜실베니아 주의 Senior Center에서 무료 은퇴 세미나 정보를 확인. (예: [PA Department of Aging](https://www.aging.pa.gov))
역시나 준비하고 알아야 할게 너무나 많습니다.
그래도 알아야 하는 거니까 꼼꼼히 살펴보기로 합니다
'나의 은퇴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보장연금(Social Security) 조기 수령 시 소득 제한 쉽게 설명하기 (0) | 2025.02.07 |
---|---|
사회보장 연금 수령시 소득에 따른 과세 기준에서 세금 부과 방식 (0) | 2025.02.06 |
생활보조금(SSI) 자격 요건 중 자산 기준 (2024년 기준) (0) | 2025.02.05 |
결혼을 하지 않았고, 충분한 근무 기록(40 크레딧)이 없다면 사회보장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 (0) | 2025.02.04 |
사회보장연금(Social Security) 완벽 가이드: 언제,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