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은퇴 준비

미국 소셜 연금을 받기위해 미국 거주 중인 한국 국적 상실자(미국 시민권자)가 한국에서 결혼 증명서를 발급받는 방법

by 가을 가동 2025. 2. 9.

 

미국 시민권을 취득한 후 한국 국적을 상실한 경우에도, 한국에서 발급된 혼인관계증명서(婚姻關係證明書)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의 가족관계등록부는 국적과 관계없이 유지되기 때문에, 본인의 혼인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1. 혼인관계증명서 발급 방법 (한국에서 직접 신청할 경우)

📌 한국에 직접 방문 가능하다면, 다음 장소에서 발급 가능

주민센터(동사무소) 방문

구청, 시청, 법원 방문

✅ 필요 서류

  • 신분증 (한국 여권이 없다면, 미국 여권 또는 외국인등록번호로 확인 가능)
  • 본인의 기본증명서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혼인관계가 포함된 경우)

 

2. 미국에서 한국 혼인관계증명서 발급받는 방법

① 주미 한국 영사관을 통해 신청하는 방법

미국 내 가까운 한국 영사관(Consulate General of Korea)을 방문하면 한국에서 발급된 혼인관계증명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 본인이 직접 방문하여 신청

✔ 또는 공증된 위임장을 통해 대리인이 신청 가능

준비 서류

  • 미국 여권 (신분 확인용)
  • 가족관계등록부 관련 서류 (기본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 신청서 (영사관에서 제공)

💡 가까운 한국 영사관을 찾으려면 주미 한국대사관 웹사이트 참고

② 한국 정부24(온라인)에서 신청하는 방법

인터넷 발급 가능 (단, 본인인증 필요)

  • 한국 정부 공식 사이트 정부24에서 발급 가능
  • 공인인증서(공동인증서) 또는 금융 인증서 필요
  • 해외에서 접속 시 제한이 있을 수 있음

미국에서 인터넷으로 발급받기 어려운 경우?

✔ 한국에 있는 가족이나 지인에게 위임하여 주민센터에서 발급 요청 가능

✔ 또는 영사관을 통해 신청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

③ 한국에 있는 가족이나 변호사를 통해 대리 신청하는 방법

✅ 한국에 거주하는 부모, 형제, 친척 등에게 위임하여 발급받는 방법

✔ 대리인이 주민센터 또는 구청에서 직접 발급 가능

✔ 위임장이 필요한 경우도 있으므로 사전에 확인 필수

변호사 또는 행정사를 통해 신청 가능

✔ 법적 절차가 필요한 경우, 한국 변호사 또는 행정사에게 의뢰 가능

✔ 비용이 발생할 수 있음

 

3. 혼인관계증명서를 미국에서 사용할 경우 아포스티유(Apostille) 필요

미국 내 기관(이민국, 사회보장국, 은행 등)에 제출하려면 아포스티유(Apostille) 공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아포스티유 발급 방법

✔ 한국에서 발급된 혼인관계증명서를 외교부에서 아포스티유 인증 받기

✔ 또는 한국 영사관에서 영사 확인(Consular Authentication) 받기

💡 아포스티유를 받은 문서는 미국에서 공식적인 결혼 증명서로 사용 가능

4. 결론: 미국에서 한국 결혼 증명서를 받는 가장 쉬운 방법

영사관 방문 → 가장 확실하고 빠른 방법

가족 또는 지인에게 요청 → 한국 주민센터에서 직접 발급 가능

정부24 온라인 신청 → 본인 인증 가능하면 인터넷으로 바로 발급

💡 미국 내 이민국(USCIS), 사회보장국(SSA) 등에 제출할 경우 아포스티유 인증을 추가로 받을 것!

 

결국에는 아포스티유가 필요할 가능성이 높다는 거네요.

✔ 한국 주민센터에서 영문 혼인관계증명서를 발급받아도, 미국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으려면 아포스티유가 필요할 가능성이 높음

특히 미국 정부기관(이민국, 사회보장국 등) 제출 시 아포스티유 요구 가능성이 큼

미국 내 기관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미리 해당 기관에 문의해서 미리미리 해 놓는 것이 젤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