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패시브 투자(Passive Investing)란?
1. 패시브 투자(Passive Investing)란?
1.1. 패시브 투자(Passive Investing)는 시장 평균(Market Average)을 따라가는 전략이다.
1.2. 특정 지수(Index)를 그대로 추종하는 방식으로, 주로 인덱스 펀드(Index Funds)나 ETF(Exchange-Traded Funds)를 활용한다.
1.3. 장기 투자(Long-Term Investing)를 목표로 하고, 거래를 자주 하지 않아 비용이 저렴하다.
1.1. 패시브 투자 방식
- 투자자는 개별 주식을 선택하지 않고, 시장 전체 또는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를 구매한다.
- 예를 들어, S&P 500 인덱스 펀드(S&P 500 Index Fund)에 투자하면 미국 500대 기업 전체에 투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시간이 지나면서 시장이 성장하면 투자 자산도 자연스럽게 증가한다.
1.2. 패시브 투자 상품 예
- 인덱스 펀드(Index Funds): 특정 시장 지수를 그대로 따라가는 펀드다.
- 예: Vanguard S&P 500 Index Fund(VFIAX), Fidelity ZERO Total Market Index Fund(FZROX)
- ETF(Exchange-Traded Funds, 상장지수펀드):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거래 가능한 인덱스 펀드다.
- 예: VOO(Vanguard S&P 500 ETF), VTI(Vanguard Total Stock Market ETF)
1.3. 패시브 투자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낮은 수수료(Low Fees): 운영 비용이 낮다(보통 연 0.03%~0.2% 수준).
- 시장 평균 수익률 확보: S&P 500 기준, 연평균 7~10%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 장기 투자에 유리: 잦은 매매 없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 가능하다.
- 단점
- 시장보다 더 높은 수익을 내기 어렵다: 패시브 투자는 시장을 그대로 따라가므로, 큰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다.
- 급격한 시장 변화 대응 불가하다: 시장이 급락할 때도 그대로 하락을 경험해야 한다.
2. 액티브 투자(Active Investing)란?
2.1. 액티브 투자(Active Investing)는 시장 평균을 이기려고(Market-Beating) 하는 전략이다.
2.2. 펀드 매니저(Fund Manager)나 개인 투자자가 시장을 분석하여 적극적으로 매매(Buy & Sell)를 한다.
2.3. 개별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을 활용해 단기적인 기회(Opportunity)를 포착하려고 한다.
2.1. 액티브 투자 방식
- 전문가들이 특정 주식, 채권을 분석하여 언제 매수(Buy)하고 매도(Sell)할지 결정한다.
- 예를 들어, 기술주가 강세일 때 애플(Apple), 구글(Google), 테슬라(Tesla) 같은 성장주(Growth Stocks)를 매수하고,
경기 침체가 예상될 때 안정적인 배당주(Dividend Stocks)나 채권(Bonds)을 매수하는 방식이다. - 일부 헤지 펀드(Hedge Funds)나 액티브 뮤추얼 펀드(Active Mutual Funds)는 공매도(Short Selling)나 레버리지(Leverage) 전략도 사용한다.
2.2. 액티브 투자 상품 예
- 액티브 뮤추얼 펀드(Active Mutual Funds): 펀드 매니저가 적극적으로 매매하는 펀드다.
- 예: ARK Innovation ETF(ARKK), Fidelity Contrafund(FCNTX)
- 헤지 펀드(Hedge Funds): 고액 자산가들이 투자하는 적극적인 전략의 펀드다.
- 예: Bridgewater Associates, Renaissance Technologies
2.3. 액티브 투자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시장보다 높은 수익 가능성: 좋은 종목을 잘 고르면 패시브 투자보다 높은 수익 가능하다.
- 급격한 시장 변동에 대응 가능: 주식 시장이 하락할 때 방어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 단점
- 높은 수수료(High Fees): 보통 연 0.5%~1.5% 수준, 헤지 펀드는 2% + 20% 성과 수수료 발생한다.
- 꾸준히 시장을 이기기 어려움: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액티브 펀드가 장기적으로 S&P 500 인덱스를 이기지 못한다.
- 단기적인 변동성이 큼: 주식 시장 변동성에 따라 손실 가능성도 크다.
3. 패시브 투자 vs. 액티브 투자 비교해보면
항목
|
패시브 투자 (Passive Investing)
|
액티브 투자 (Active Investing)
|
목표
|
시장 평균 수익률 달성
|
시장을 이기려고 노력
|
운영 방식
|
인덱스 펀드, ETF로 투자
|
전문가가 주식/채권 매매
|
수수료
|
매우 낮음(0.03%~0.2%)
|
높음(0.5%~1.5% 이상)
|
매매 빈도
|
거의 없음 (장기 보유)
|
잦은 매매 (단기 매매)
|
리스크
|
중간(시장과 함께 움직임)
|
높음(전략 실패 시 큰 손실 가능)
|
장점
|
저비용, 장기적으로 안정적
|
시장을 이길 가능성이 있음
|
단점
|
큰 수익 기회 적음
|
비용 부담 크고, 실패 가능성 높음
|
적합한 투자자
|
장기 투자자, 초보자
|
전문 투자자, 적극적 투자자
|
4. 결론: 어떤 방식이 더 나을까?
4.1. 초보 투자자나 장기 투자자라면 패시브 투자(Passive Investing)가 더 안전하고 효과적이다.
4.2. 패시브 투자로 유명한 S&P 500 인덱스 펀드(S&P 500 Index Fund)는 지난 50년간 연평균 7~10% 성장했다.
4.3. 액티브 투자(Active Investing)는 경험이 많고 시장을 분석할 능력이 있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다.
4.4. 연구에 따르면, 장기적으로 80% 이상의 액티브 펀드가 S&P 500보다 낮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4.5. 결론적으로, 대부분의 일반 사람들에게 패시브 투자가 더 적합하며, 장기적으로 성공 확률이 높다.
결국에는 안정성을 위해서는 패시브가 좋다는 거네요.
긴 안목을 보고 일찍 투자 한다면 은퇴시 많은 이익이 있겠어요.
중간에 자꾸 사고 팔고 하는 것 보다 그냥 꾸준히 넣어 두고 있는게 장기간 좋다는 거지요.
잘 모르는게 또 나와버렸네요. '공매도(Short Selling)나 레버리지(Leverage) 전략' 요건 또 뭘까요? ㅎㅎㅎㅎㅎ
'나의 은퇴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IRA 투자에서 자율적인 투자 관리 옵션(Self-Directed IRA, SDIRA)이란? (1) | 2025.02.28 |
---|---|
레버리지(Leverage)와 공매도(Short Selling)전략이 무엇인지 (3) | 2025.02.27 |
투자 전문 회사에서 뮤추얼 펀드(Mutual Fund)에 가입하면, 펀드 매니저(Fund Manager)가 대신 알아서 해준다? (2) | 2025.02.25 |
뮤추얼 펀드(Mutual Funds)에서 말하는 주요 펀드 종류, 유형에 대해 (5) | 2025.02.24 |
뮤추얼 펀드(Mutual Fund)와 헤지 펀드(Hedge Fund)란? 또 장기적으로 안전한 투자 방법은?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