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메디케어(Medicare)란?
1.1. 메디케어(Medicare)는 미국 정부가 제공하는 연방 건강 보험 프로그램으로, 65세 이상이거나 특정 장애를 가진 사람이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 제도이다.
1.2. 메디케어는 기본적으로 노년층과 특정 질환을 가진 사람들에게 의료비 부담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1.3. 이 프로그램은 원래 1965년에 시작되었으며, 현재 수천만 명의 미국인이 혜택을 받고 있다.
2. 메디케어의 주요 구성 요소는
2.1. 메디케어는 크게 4가지 부분(Part A, B, C, D)으로 나뉜다.
메디케어 유형 | 설명 | 적용 범위 |
Part A (병원 보험, Hospital Insurance) |
메디케어의 기본 보험 | 입원 치료, 요양원, 호스피스, 일부 재택 치료 |
Part B (의료 보험, Medical Insurance) |
외래 진료 및 의료 서비스 | 의사 방문, 외래 치료, 예방 의료 서비스, 의료 장비 |
Part C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Medicare Advantage) |
민간 보험사가 제공하는 종합 보험 | Part A + Part B + 추가 혜택 (치과, 시력, 청력 등 포함) |
Part D (처방약 보험, Prescription Drug Plan) |
처방약 비용 보장 | 처방약 비용을 보조하며, 특정 약품의 가격 할인 가능 |
3. 메디케어 가입 대상 및 자격 요건은
3.1. 다음 조건을 충족하면 메디케어에 가입할 수 있다.
- 65세 이상 미국 시민 또는 영주권자
- 사회보장 혜택(Social Security Benefits)을 10년 이상 납부한 경우
- 특정 장애(예: 말기 신장병, ALS)를 가진 경우, 연령에 관계없이 가입 가능
3.2. 자동 가입 여부
- 사회보장 혜택을 이미 받고 있는 사람: 65세가 되면 자동으로 메디케어 Part A 및 Part B에 가입된다
- 사회보장 혜택을 신청하지 않은 사람: 직접 메디케어를 신청해야 한다
4. 메디케어 가입 및 비용
4.1. 메디케어 가입 기간
- 초기 가입 기간(Initial Enrollment Period, IEP): 65세 생일 기준으로 생일 전후 3개월씩 총 7개월 동안 가입 가능하다
- 특별 가입 기간(Special Enrollment Period, SEP): 특정 상황(예: 고용주 건강보험 종료)에서 가입 가능하다
- 일반 가입 기간(General Enrollment Period, GEP): 1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가입 가능하다 (이 경우 늦게 가입한 만큼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4.2. 메디케어 비용
- Part A: 대부분 무료 (사회보장 세금을 10년 이상 납부한 경우)
- Part B: 월 $174.70 (2024년 기준) / 소득에 따라 증가 가능하다
- Part C: 보험사마다 다르다
- Part D: 플랜마다 다르다 (평균 월 $30~$50)
5. 메디케어와 민간 보험(메디케어 어드밴티지 & 메디갭) 비교
5.1. 메디케어 어드밴티지(Medicare Advantage, Part C)
- 기존 메디케어(Part A+B)와 민간 보험사의 추가 혜택을 결합한 플랜이다
- 치과, 시력, 청력, 헬스케어 혜택이 포함될 수 있다
- 보험사마다 혜택과 비용이 다르다
5.2. 메디갭(Medigap, 메디케어 보완 보험)
- 메디케어의 본인 부담금(co-payment), 공제액(deductibles), 공동보험(co-insurance) 등을 보완하는 추가 보험이다
- Part A 및 Part B에 추가로 가입해야 하며, Part C(메디케어 어드밴티지)와 함께 가입할 수 없다
메디케어는 미국에서 은퇴 후 필수적인 건강 보험 제도이고, 65세 이상 또는 특정 질환이 있는 경우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하네요.
메디케어는 Part A(병원 보험), Part B(의료 보험), Part C(메디케어 어드밴티지), Part D(처방약 보험)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부분이 다른 역할을 한다는데 이거 외울려면 한참 걸리겠어요. 뭐가 이리 늘 복잡한지요. ㅎㅎㅎㅎㅎㅎ.
가입 시기와 비용을 미리 파악하고, 본인의 의료 필요에 맞는 플랜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고.
메디케어만으로 부족할 경우, 메디케어 어드밴티지(Part C)나 메디갭(Medigap) 보험을 고려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니까 언제나 알고 있어야 뭘 해도 할수 있다니까요. ㅎㅎㅎㅎㅎ.
'나의 은퇴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퇴 후 메디케어 없이 민간 의료보험 가입 가능 여부 (0) | 2025.03.19 |
---|---|
메디케어(Part A, B, C, D)를 모두 가입해야 은퇴 전 의료보험과 유사한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 (0) | 2025.03.18 |
Annuity(어누이티)와 Trust(트러스트)비교 (0) | 2025.03.16 |
미국 신탁회사(Trust Company) 선택 가이드 및 수수료 (0) | 2025.03.15 |
Trust(트러스트)란 (0)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