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RA란?
1.1. IRA(Individual Retirement Account)는 미국에서 개인이 스스로 은퇴 자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만든 세금공제 혜택이 있는 은퇴 계좌다.
1.2. 일반적인 401(k)와 다르게 고용주가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직접 개설해야하고 관리해야하는 계좌다.
1.3. 세금 혜택이 있기 떄문에 정부가 연간 납입 한도를 정해 두었고, 일정 나이가 되면 인출해야 하는 규정도 있다.
2. IRA의 종류
2.1. 전통적인 IRA(Traditional IRA)
- 납입한 금액에 대해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있다.
- 인출할 때는 세금이 부과된다.
- 59.5세 이후부터 인출이 가능하고, 73세 이후에는 최소 인출 규정(RMD, Required Minimum Distribution)이 적용된다.
2.2. 로스 IRA(Roth IRA)
- 납입할 때 세금 공제는 없지만, 인출할 때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다.
- 59.5세 이후에 인출할 경우 원금과 이자 모두 세금 없이 받을 수 있다.
- 최소 인출 규정이 없어서 원할 때까지 계좌에 놔둘 수 있다.
2.3. SEP IRA(Simplified Employee Pension IRA)
- 자영업자나 소규모 사업주를 위한 IRA 계좌다.
- Traditional IRA와 비슷하지만, 더 높은 납입 한도를 제공한다.
2.4. SIMPLE IRA(Savings Incentive Match Plan for Employees IRA)
- 직원이 100명 이하인 중소기업에서 제공하는 IRA다.
- 직원과 고용주가 함께 납입할 수 있다.
3. 언제,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3.1. 언제 시작하는게 좋을까?
- 가능한 한 빨리 시작하는 것이 최고 좋다.
- 복리 효과 덕분에 일찍 시작할수록 은퇴 시점에 더 많은 자금을 마련할 수 있다.
3.2. 어떻게 개설해야 할까?
- 은행, 증권사, 투자회사(예: Vanguard, Fidelity, Charles Schwab 등등)에서 IRA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 Traditional IRA와 Roth IRA 중 어느 것이 자신에게 더 적합한지 잘 따져보고 결정해야 한다.
- 계좌 개설 후 매달 일정 금액을 납입하거나, 일 년에 한 번 한도 내에서 한꺼번에 납입할 수도 있다.
3.3. 얼마나 납입할 수 있을까?
- 2024년 기준 연간 최대 납입 한도는 $7,000이며, 50세 이상은 추가로 $1,000까지 더 납입할 수 있다.
4. IRA를 활용한 은퇴 전략은?
4.1. 401(k)와 함께 활용하기
- 직장에서 401(k)를 제공한다면 우선 고용주 매칭(matching)이 있는 만큼 납입한 후, 추가적으로 IRA를 활용하는 것이 최선.
- 예를 들어, 401(k)에 연간 $10,000을 넣고, 추가로 IRA에 $7,000을 넣을 수 있다.
4.2. 세금 전략 활용하기
- 현재 소득이 높고 세금 공제가 필요하면 Traditional IRA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 현재 소득이 낮고 은퇴 후 세금을 줄이고 싶다면 Roth IRA가 좋다.
4.3. 투자 선택
- IRA 계좌 내에서 개별 주식, 채권, ETF, 뮤추얼 펀드 등을 선택하여 투자할 수 있다.
- 장기적인 은퇴 자금이므로 안정적인 투자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5. 결론
5.1. IRA는 개인이 은퇴 자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도구다.
5.2. Traditional IRA와 Roth IRA 중 본인의 소득과 세금 상황에 맞는 계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5.3. 가능한 한 빨리 IRA 계좌를 개설하고 꾸준히 납입하면, 은퇴 시점에 더 많은 자금을 확보할 수 있다.
저는 개인이니까 사업주나 자영업자의 IRA는 밀어두고요....
결국 Traditional IRA는 먼저 불입하는 금액에서 세금을 안떼어 갔다가 나중에 찾을 때 세금을 부과하고,
Roth IRA는 처음에 불입할 때 미리 세금을 떼어가고 나중에 찾을 때 세금을 내지 않는다는 얘기.
401k에서도 Roth가 나왔었는데 결국 Roth가 붙으면 처음에 불입할 때 미리 세금을 떼어가고 나중에 찾을 때 세금을 내지 않는다는 거네요.
'나의 은퇴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IRA투자시 장기적으로 가장 안전한 투자는? (3) | 2025.02.22 |
---|---|
IRA 계좌의 관리 수수료는 얼마나 될까? 손해가 난다면? 수수료 계산 방식은? (1) | 2025.02.21 |
401(k) 초과 불입과 401(k) 초과 불입으로 인한 이중 과세 금액은 어떻게 계산 할까요? (0) | 2025.02.19 |
401(k)나 IRA에서 추가 불입 허용이란?과 만약 50세 이후 한도를 초과하면 어떻게 될까요? (0) | 2025.02.18 |
꼭 알고 가야 하는 고용주 401(k) 매칭 (0) | 2025.02.17 |